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언론/기사

싸움꾼들-인터뷰 ] “개인의 모든 진실을 파헤쳐내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유성주 배우(2013.2.13 뉴스테이지)

 

[인터뷰] “개인의 모든 진실을 파헤쳐내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연극 ‘싸움꾼들’
연극 ‘싸움꾼들’ 배우 유성주
  

 

이소연 기자
 
 

 

세상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통제욕은 정신적인 것으로 귀결됐다. 사람의 심리를 연구한다는 것에는 인간의 심리를 통제하고 싶다는 욕구가 반영되어 있다. 정신적으로 아픈 사람을 고치자면 인간의 정신을 모두 알아야하고, 그를 위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진행된다. 치료를 명목으로 한 실험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치료자나 환자 모두 한 가지 방식만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신념을 가지고 말이다.
 
약육강식의 세상, 약자는 강자에게 이용당한다. 정신적인 폭력은 헤어 나오기도 힘들고, 더 잔인하다. 살인자의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과정을 담은 연극 ‘싸움꾼들’의 배우 유성주에게 물었다.
 
- 연극 ‘싸움꾼들’에서 맡은 역할은 어떤 캐릭터인가.
 
‘최교수’라는 역으로, 가족은 제쳐놓고 일과 성공에 집착하는 인물이다. 상처 입은 사람들이 감추고 싶어 하는 것을 세상에 드러내 자신의 성공으로 만들어낸다. 이 작품에서 ‘최교수’가 파헤치려고 하는 상대는 트라우마를 가진 ‘청년’이다. 
 
- 연습에 매진하고 있다고 들었다. 연습하며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무엇인가?
 
이 연극은 이야기 구조가 복잡하다. 일반적인 스토리텔링으로 관객들에게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현실과 비현실적인 영역들이 뒤섞여 있는데 이를 어떻게 잘 전달할 것인가가 중점이다. 중심인물이 청년이다. 청년의 꿈과 허상, 잊힌 기억들이 현실이 교차 반복되면서 최교수가 이 기억들을 끌어낸다. 기억을 끌어내는 과정이 격투기 장면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마치 연구실에서 심리치료를 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음향, 반복적 동작, 연기 등으로 비현실과 현실의 경계를 잘 드러내려 노력했다.
 
- 이 캐릭터를 연기하는데 모티브를 얻은 매개체가 있나?
 
다른 작품에서 모티브를 찾지는 않았다. 오히려 나와 주변 사람들이 보이는 성향들, 생각들을 역할에 맞춰 도용했다.
  
 

- ‘청년’과 ‘최교수’의 모습에서 무엇을 볼 수 있었나?
 
이 작품을 분석하면서 든 사례가 있다. 트라우마를 가진 살해범을 대상으로 한 교수가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이 범죄자는 자신이 누군가를 살해했다는 기억이 없었다. 트라우마를 치료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범죄자는 살인의 기억을 찾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살인범은 죄책감을 얻어 더 힘든 인생을 살게 되었다.
 
이 사례는 극단적인 면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누구나 숨기고 싶은 개인사가 있다. 이를 알고 싶은 욕구 때문에 파헤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때로는 덮어두는 것이 개인의 삶에는 더 이롭지 않을까.
 
- 자신의 캐릭터를 통해 어떤 것을 말하고 싶나.
 
최교수는 자기 성찰을 하기보다는 타인을 분석하는데 더 집중하는 인물이다. 그의 능력을 오직 그의 성공만을 위해 사용한다. 자신이 한 행동이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최교수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지 않는 인물이 어떤 모습인가를 볼 수 있다.
 
사회적인 지위와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들의 시각으로만 세상을 바라보지 않았으면 한다. 스스로를 돌아보고 타인에게 미칠 결과를 생각한다면 그들의 능력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 연극 ‘그게 아닌데’는 지난번 작품인 연극 ‘그게 아닌데’와 연결고리가 있나.
 
연극 ‘그게 아닌데’와 ‘싸움꾼들’은 다른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스토리와 표현 방식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물론 연극 ‘그게 아닌데’에서도 내 역할은 정신과 의사였다. 하지만 연극 ‘그게 아닌데’에서는 정신과 의사가 상대를 조정해 원하는 상황을 만들고자 한다. 연극 ‘싸움꾼들’에서는 청년이 가지고 있는 것을 그대로 파헤쳐낸다. 접근 방식이 다른 것이다.
 

 

-> 기사 원문 보러가기